23일 오전 10시 목포시교육지원청 정문에서 목포시내 어린이집 및 유치원 원장님들 전원이 모여 "어린이집 유치원 통합수용계획 수립 촉구 및 취학권역 단일화 촉구 집회를 열었습니다.
집회에서 목포시어린이집연합회 이성계 회장은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취학해야 할 목포시내 영유아는 15,557명이나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정원은 16,778명으로 현원보다 정원이 턱없이 많은 문제점이 있기 떄문에 교육지원청은 유치원 신규 설립 등을 추진하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목포교육 목포발전의 원동력입니다! 목포시 교육지원청에 걸린 목포교육 표어
사회를 진행하고 있는 목포시어린이집연합회 사무국장님
목포시교육지원청 정문에서 집회에 참여하고 있는 어린이집 및 유치원 원장님들과 선생님들
목포시를 하나의 단일취학권역으로 할 것을 촉구하는 현수막과 손팻말,
이러한 바램이 통했는지 집회중에 목포시교육지원청에서
목포시를 하나의 단일취학권역으로 결정했다는 기쁜소식이 전해졌다.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원아에 대한 통합수용계획 수립을 촉구하는 목포시어린이집연합회 이성계 회장
집회에 인사말을 하고 있는 목포시의회 강신의원
********************************************************
아래 - 23일 집회에서 채택하여 목포시교육장에게 전달된 건의문 전문
건 의 문
2013년 목포시 및 목포교육지원청 통계자료에 의하면 목포시 총인구는 245,011명이며,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취학해야 할 영유아 수는 15,557명입니다.
목포시내 어린이집은 220개원이며 유치원은 54개원(공립30, 사립24)입니다. 전체 어린이집의 원아 수용가능 정원은 12,603명, 유치원의 원아 수용가능 정원은 4,175명입니다.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원아 수용가능 정원은 합 16,778명입니다.
원아 수용가능 정원 16,778명-영유아수 15,557명=1,221명으로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원아 수용능력이 1,221명이 초과된 상태입니다. 즉 원아가 1,221명이 부족한 상태입니다.
거기다가 목포시청 통계에 의하면 어린이집도 유치원도 취학하지 않고 양육수당을 받으며 가정에서 보육하거나, 학원 등에 보내는 영유아가 4,033명입니다.
그렇다면 목포시내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취원해야 할 영유아 수는 5,254명이 부족한 현실입니다. 즉 어린이집과 유치원 원아 수용능력이 5,254명이 남아 도는 참담한 현실인 것입니다.
건의1.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통합수용계획 수립을 촉구한다.
유아교육법 시행령 제17조 제1항에 의하면 관할청은 유치원에 취학하기를 희망하는 유아의 적정한 수용을 위하여 유아수용계획을 수립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2013년 목포교육청 통계자료에 의하면 목포시내 만3,4,5세(5,6,7세) 취학대상 원아는 7,565명이며 공`사립 유치원의 원아 수용가능 정원은 4,175명, 유치원에 취학중인 현원은 3,737명으로 438명이 정원미달 상태입니다.
따라서 목포시내의 유아 중 유치원에 취학하기를 희망하는 유아는 모두 유치원에 취학하고 있으며 438명의 유아가 부족한 상태입니다. 결과적으로 유아수용계획 자체도 무의미한 참담한 상황인 것입니다.
그런데 목포교육지원청에서는 목포시내 만3,4,5세 취학대상 원아가 7,565명이며 공`사립유치원의 수용가능 정원이 4,175명이므로 3,390명이 유치원에 취학하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학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어린이집에 취원하거나 가정에서 양육하는 유아를 전혀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유치원은 교육부 소관으로 유아교육법의 적용을 받고 어린이집은 보건복지부 소관으로 영유아보육법의 적용을 받기 때문에 어린이집에서 얼마나 많은 유아를 수용하고 있던지 상관없다는 셀제를 무시한 형식논리를 펴고 있습니다. 위의 통계에서 보듯이 어린이집 수용 능력과 가정보육 유아를 합치면 많은 유치원, 어린이집 시설이 남아도는 현실입니다.
목포교육지원청은 유아수용계획 자체가 불필요한 상황이지만 유아수용계획을 작성하겠다면 반드시 어린이집 유아 수용능력과 가정보육 유아를 반영하여 수용계획을 작성해 주실 것을 건의합니다.
건의2.
유아수용계획상 취학권역을 단일 취학권역으로 설정하여 주십시오.
목포시내는 중학교 학군도 단일화 되어 있으며 시내 어디든 통학버스 운행이 가능하여 협소한 목포시의 면적에서 취학권역을 여러개로 분리할 이유가 없으므로 유사수용을 목포시내 전체로 보고 판다하여야 합니다.
건의3.
유아수용계획 작성을 위한 유치원 취학 수요조사를 공정, 투명하게 실시하여 주십시오.
1. 설문조사서 성안, 회수, 집계, 통계작성에 사립유치원, 어린이집연합회에서 추천한 자가 참여할 수 있도록 해 주십시오.
2. 설문조사서 회송방법에서 학교 행정실을 통한 회수, 팩스를 통한 회수는 금지하여 주시고 주시는 조사서는 반드시 밀봉된 상태로 회송되어야 합니다.
3. 설문조사서 의 유아교육, 보육기관 등 정보안내 중 정부지원금 부분에서 공립유치원에게 일방적으로 유리하게 작성되어 있으므로(입학금, 수업료 면제, 월6만원 지급) 정부지원금 항목 전체를 삭제하고 작성하여 주십시오.
2003. 5. 23.
목포시어린이집연합회
한국유치원 총연합회 목포지회
'더불어 사는 삶'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포농산물도매시장 경로잔치 이모저모 (0) | 2013.05.24 |
---|---|
극동방송 합창단 정기연주회 열어 (0) | 2013.05.23 |
오늘의 시사만평 130523(목) (0) | 2013.05.23 |
협회장기 테니스대회를 축하드립니다. (0) | 2013.05.22 |
오늘의 시사만평 130522(수) (0) | 2013.05.22 |